TIL&WIL71 250114 TIL - 꼬리재귀? 알고리즘 풀이 회고배열을 정렬했으면 굳이 최대값 최소값을 위한 추가 로직이 필요하지 않아요... 맨 앞 또는 맨 뒤의 요소가 최대 또는 최소겠죠?일반적으로 재귀와 반복 중에는 반복이 연산 속도도 빠르고, 스택 메모리도 덜 차지하지만, 재귀도 나름 변수 사용을 줄이고, 가독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고리즘 자체가 재귀에 적합한 경우, 즉 연산 결과가 또 피연산자로 들어가는 경우 등이 있어 상황에 맞게 취사선택하면 되는데, "꼬리 재귀"라는 기법을 사용하면 재귀의 단점이 많이 줄어든다고....?꼬리 재귀일반적인 재귀는 return 구문에서 특정한 연산이 필요해유...function factorial(n) { if (n === 1) { return 1; } return n.. 2025. 1. 14. 250110 TIL - 오늘은 짜잘한 팁 오늘의 짜잘한 팁address family는 주소 체계! IPv4인지 IPv6인지~net.createServer() 는 net.Server의 인스턴스를 만드는 것 net.createServer([options][, connectionListener]) connectionListner는 서버에 connection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실행되는 콜백함수PID는 프로세스 별로 부여되는 IDprocess.exit() 는 즉시 실행 중인 프로세스 끝내버림!! 비동기 작업도 무시하니까 자원 손실되지 않게 주의할 것!! 그리고 인자에 0이면 정상 종료고 0이 아니면 다 비정상 종료니까 확인 잘 하기Function.prototype.call() -> 이거 thisBinding 이었넴 다시 더듬어 보는 ThisBind.. 2025. 1. 10. 250108 TIL - 게임 프로그래밍에서 삼각함수, 역삼각함수 게임 프로그래밍에서의 삼각함수듣다가 기절해버리긴 했지만, 삼각함수 속성 강의를 듣고는, 예전 기억이 새록새록 날랑말랑 하더라!!다만 삼각함수의 수학적인 개념을 완벽히 익히는 건 시간 상 경제적이지 않다는 생각이 들어서,게임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활용하게 되는 삼각함수 개념을 서치해보기로 했다!!그 전에 기본 개념은 다지고 들어가는 걸로!! 삼각함수 활용의 기본 원리좌표평면 상에서 (0,0) 좌표를 중심으로 둔 반지름이 1인 원이 있다고 해보자!!이때 원의 중심에서 원주로 직선을 긋고, 그 직선과 원의 교점에서 수선의 발을 내리면무조건 직각 삼각형이 나온다!! 그리고 이 직각 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는 반지름, 즉 1이고삼각함수에 따라 교점의 x좌표는 cosθ, y좌표는 sinθ, 그 직선의 기울기는 tanθ가.. 2025. 1. 8. 250109 TIL- Docker 도커란?"어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는 툴"컨테이너라 불리는 하나의 작은 소프트웨어 유닛 안에 우리의 어플리케이션과 그에 필요한 시스템 툴, 환경 설정, 모든 디펜던시들을 하나로 묶어서(런타임 환경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묶어서)다른 서버, 다른 pc 어디든 쉽게 배포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툴 컨테이너는 운영체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가볍다!!대신에, 컨테이너가 구동되기 위해선 컨테이너 엔진이 필요하고,이 엔진이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호스트의 운영체제에 접근해 필요한 것들을 처리해줌!이 컨테이너 엔진 중 하나가 바로 도커 엔진!활용 방법1. Dockerfile 만들기Dockerfile은 컨테이너를 만들기 위한 설명서, 레시피 같은 파일들어가는 정보들은 아래와 같다!!Copy Files : 어플.. 2025. 1. 8. 250106 TIL - trim() trim()원본 문자열에서 양쪽 끝의 공백을 제거한 새 문자열을 반환하는 메서드!! 기존 문자열은 건드리지 않음!! 공백이 몇 개든 전부 제거해버림!! 공백이 없다면 그냥 새 문자열을 반환하는 복사 메서드로 활용 가능!!trimStart()와 trimEnd()한쪽의 공백만 제거하고 싶은 경우 활용!! 문자열 앞의 공백을 없애고 싶으면 trimStart(), 뒤의 공백을 없애고 싶으면 trimEnd()을 활용하믄 된다!! 2025. 1. 6. 250103 TIL - Buffer 메서드 Buffer 객체 메서드 모음1) Buffer.alloc()새로운 Buffer 객체를 생성해주는 메서드!! Buffer의 크기는 필수로 지정해줘야한다!!기본 구조Buffer.alloc(size[, fill[, encoding]])size : 새로 만들 Buffer의 크기, size가 5 라면 5 바이트의 Buffer 생성숫자 타입만 가능!!fill : 새 Buffer를 미리 채울 값, 기본값은 0숫자 타입인 경우, 매 바이트에 해당 숫자가 채워짐0 ~ 255 사이의 정수만 가능, 만약 256 이상이라면 그 값을 256으로 나눈 나머지가 채워짐그 외에 문자열, 다른 Buffer 객체, Uint8Array를 채울 수 있음얘네의 길이가 size 보다 작은 경우, 반복해서 채워짐 (아래 예시에서 확인해보자!!).. 2025. 1. 3.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